-
지난 포스팅인 '무기력을 극복하는 방법'은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에 떠서 보게 된 것입니다.
쇼츠로 웃긴 영상을 보다가 차분하게 경청해야 하는 내용을 보려니 집중이 안 돼서 '나중에 볼 동영상'에 저장을 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저의 경우 '나중에 볼 동영상'에 저장한 것을 나중에 실제로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저장했기 때문에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다는 안도감이 컨텐츠를 '잡은 물고기' 취급하게 만든 것일까요.
어쨌든 유익하고 다시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서 기껏 저장한 콘텐츠를
그다지 쓸모없는 쇼츠를 보느라 안보고 있는 것입니다.
-
영화나 드라마를 띄엄띄엄 봅니다.
물론 그래도 큰 지장이 없는 영화들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제이슨 스타뎀의 영화 같은 것들 말이죠.
하지만 섬세한 대사와 표정연기, 미장센 등 감상할 것들을 많이 집어넣은 영화들의 경우
그것들을 다 놓치고 줄거리만 따라가는 것은 영화를 제대로 감상했다고 보기 힘듭니다.
수십 년 동안 숙성한 위스키를 향도 맛도 음미하지 않고 목구멍에 털어넣는 격이랄까요.
-
책을 읽다가 그만둡니다. '재미없는 책이라도 일단 펼쳤으면 끝까지 읽어야 한다'는 주의는 절대 아닙니다.
세상에 읽을 책이 얼마나 많습니까. 재미없을 것을 붙잡고 있을 이유도, 여유도 없습니다.
하지만 좋은 책이라고 생각되는 책조차 완독을 미루고 미루다 반납일이 도래해서 어쩔 수 없이 반납하고,
나중에 볼 동영상처럼 다시 빌리지 않습니다.
구매한 책은 말할 것도 없지요. 그야말로 언제든 볼 수 있으니,
절대 보지 않습니다.
-
누군가 2025년에 블로그를 시작한다고 하면 수익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블로그는 그런 목적은 아닙니다.
'블로그 수익화' 라는 주제로 강의가 있을 정도면
전통적인 방식처럼 생각이나 일상을 기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무언가가 있다는 뜻일 텐데
저는 그런 것엔 관심이 없습니다.
글을 쓰려면 글감이 있어야 하는데
저는 별다른 사건사고 없이 방구석에서 심심한 인생을 살고 있고
따라서 하루 종일 시간을 보낸 것들을 위주로 글을 써야 하는데
책이든 영화든, 하다못해 20분짜리 유튜브도 끝까지 제대로 보지 못하는 저를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기록'이라는 방법을 채택한 것입니다.
당장 지난 글만 해도
'이걸 다 보고 포스팅을 해야겠다'라고 생각했기에 영상을 다 볼 수 있었습니다.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암기까지 되었으니
보고 듣고 경험한 것을 기록하는 것은 여러모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일기는 일기장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무기력을 극복하는 방법 (0) | 2025.11.10 |
|---|---|
| 티스토리 블로그 꾸미기(사이드바에 가로선 넣기) (0) | 2025.11.03 |
| 티스토리 블로그에 달력 달기(&아이콘&파비콘) (0) | 2025.11.03 |
| 티스토리 블로그에 도메인 연결하기 (with 카페24) (0)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