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 Messiah(2014)

 

얼마 전 디안젤로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더 이상 그의 새 음악을 들을 수 없다는 사실이 너무 안타깝네요.

불과 얼마 전에도 'Black Messiah'(2014)를 들으면서

'아니, 이거 나온지가 벌써 11년 전이라고?'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Black Messiah는 그의 두번째 앨범인 Voodoo(2000년) 이후 14년 만에 발표된 것입니다.

무려 14년입니다...부두는 1월, 블랙메시아는 12월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15년만이라고 봐도 되겠네요.

오랫동안 그의 새 음악을 기다렸기 때문에

앨범을 듣기도 전에 앨범이 나왔다는 사실만으로 감격했던 기억이 납니다.

 

Voodoo(2000)

 

Voodoo는 처음들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듣는 인생 앨범 중 하나인데

이 앨범이 더 특별한 이유는 제 군생활의 BGM이었기 때문입니다.

입대 후 훈련소에서 야간행군을 할 때

머릿속에서 feel like makin' love가 끊임없이 재생되었습니다.

왠지 모르게 계속 그 노래가 맴돌았습니다.

인생에 첫 행군이라 많이들 힘들어하고 심지어 낙오하는 사람도 있었는데

전 내적 그루브를 타면서 기분이 꽤 좋았습니다.

혼자 딴세계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20대 초반의 저는 밴드 음악에 심취해 있었고

힙합/알앤비는 거의 안들을 때였는데

왜 이 앨범의 음악들이 계속 생각이 났는지...

 

 

사실 밴드음악은 군대와 굉장히 궁합이 좋아서

군생활을 더 몰입하게 효과가 있고, (매드맥스에 괜히 기타리스트가 나오는게 아닙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것을 굉장히 경계했습니다.

 

Voodoo를 들어본 사람은 공감할텐데

이 앨범 전체를 관통하는 바이브는

대한민국 군생활의 정서와는 매우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이 앨범이 가진 그루브와 간지는 

저와 제 원래의 세계를 잇는 끈이자

부조리한 관습에 물들지 않게 하는 부적 같은 것이었습니다.

'한 개인으로서의 나'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죠.

 

다시 한 번 정확히 말씀드리면 실제로 음악을 들은 것은 아닙니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20년 전에는 군대에서 자유롭게 음악을 들을 수 없었습니다.

그저 빨래를 널거나 전투화를 닦을 때처럼 조금이라도 멍 때릴 시간이 있으면

살짝 레이백된 리듬속으로 되뇌였을 뿐이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평안하시길.

사이트를 어떻게 쉽게 만들 수 있을까 찾아보다가 framer를 알게 되었습니다.

튜토리얼 영상을 보니 어렵지 않게 따라 할 수 있을 것 같아 우선 이걸로 사이트를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4u_8uYQ0_w&t=1816s

 

저는 이 영상을 보고 따라 해봤습니다.

설명이 상세하면서도 군더더기가 없어 좋습니다.

 


 

중간에 로고를 삽입하는 과정이 있어서 이왕 하는 거 로고까지 만들어봤습니다.

제가 직접 만들 능력은 없어서 챗지피티한테 만들어달라고 했고, 결과물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수정했습니다.

 

ChatGPT한테 만들어달라고 한 로고. 세상 참 좋아졌네요.

 

 

배경을 지우고 png로 저장

 

편집 프로그램은 오랫동안 포토샵을 쓰다가 구독료에 비해 사용량이 너무 적은 것 같아 구독을 취소하고,

pixelmator pro로 갈아탔습니다.

어도비 제품군의 구독료가 취미로 즐기기엔 부담되는 수준이라 다른 대체 프로그램을 찾으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미지 편집에 관해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어피니티 포토와 픽셀메이터 프로입니다.

 

어피니티 포토는 보다 포토샵과 비슷하고 픽셀메이터 프로보다 더 고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픽셀메이터 프로는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더 쉽고,

특히 작년 애플의 인수로 익숙한 UI라던가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기기 호환성의 측면에서 더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저는 픽셀메이트 프로를 $ 49.99에 구매하였고 얼마간 사용해 본 결과 매우 만족합니다.

(그동안 어도비에 지불한 금액이 아깝더군요.)

저처럼 포토샵을 이미지 트리밍이나 색상보정, 잡티제거 정도로 사용하던 분들에겐 좋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google font라는게 있는지도 처음 알았습니다.

오픈소스 폰트라 블로그나 웹사이트, 상업적 프로젝트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구글폰트 사이트의 화면

 

한글폰트를 다운받기 위해 필터에서 한글을 선택하려고 하는데 writing system과 language. 이렇게 두 개의 옵션이 보입니다.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riting system (쓰기 체계):
    • 이것은 글자를 표현하는 근본적인 문자 체계나 방식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 라틴 문자(Roman script), 키릴 문자(Cyrillic script), 아랍 문자(Arabic script), 한글(Hangul), 한자(Han characters)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특정 언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더 넓은 범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Language (언어):
    • 이것은 특정 언어를 의미하며, 해당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Writing system)를 기반으로 합니다.
    • 예를 들어, Writing system이 '라틴 문자'라면, Language는 '영어(English)', '스페인어(Spanish)', '프랑스어(French)' 등이 될 수 있습니다.
    • 각 언어는 해당 언어 고유의 특수한 문자(예: 프랑스어의 'é', 독일어의 'ü')나 구두점 규칙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한글은 다른 문자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지만

일반적으로는 language 옵션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면 됩니다.

 

 


 

강의 영상은 1시간 41분짜리인데 멈춰서 따라하고, 로고도 만들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몇 번 반복해서 봤더니

영상 40분을 보는데 4시간이 걸렸습니다.;;;

시간이 늦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해야겠네요.

'컴퓨터 학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의 자료구조 (리스트)  (1) 2025.11.04
python의 기초  (0) 2025.11.03
사진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0  (0) 2025.10.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