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 좋은 영상이 있어 소개합니다.
지나영 교수님이 무기력의 원인과 극복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xBrl-Gwry8
다음은 우리가 무기력과 혼동하기 쉬운 것들입니다.
- 무기력(Listlessness): 뭔가를 하려는 동기나 의욕이 심각하게 떨어지거나 없는 상태로, 이는 외부의 강제나 압박이 많을 때 심해짐.
- 번아웃(Burnout): 업무나 일 관련 스트레스로 인한 완전한 소진 상태(에너지 고갈, 회의감). -> 휴식을 통해 급격히 회복될 수 있음.
- 우울증(Depression): 무기력과 함께 우울감, 무쾌락감, 심한 부정적 사고(무가치감, 죄책감) 및 수면/식욕 장애가 동반. ->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함.
1. 무기력의 근본 원인 : 내적 동기의 상실
2. 내적 동기 회복의 3가지 요소
사람이 잘 살고 내적 동기(Internal Motivation)를 갖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심리적 요소가 충족되어야 합니다.
- 자율성 : 내가 내 행동과 선택을 결정하고 삶을 조율할 수 있다는 감각.
- 유능감 : 내가 어떤 일을 해낼 수 있고, 배우면 성장할 수 있다는 감각.
- 관계성 : 내가 소속되어 있고, 사랑받고, 인정받고, 가치를 존중받고 있다는 감각.
3.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회복 방법
① 자율성 회복
- 선택이 있음을 인지하기: 모든 일에 '선택'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일단 디폴트를 '안 한다(No)'로 놓습니다.
- 나의 이유로 '예스'를 뒤집기: '안 한다'에서 '한다(Yes)'로 선택을 뒤집을 때, 돈이나 벌이 아닌 나의 가치, 목적, 의미(내적 동기)를 고려해서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 가기 싫을 때 '안 간다'를 디폴트로 합니다. 그리고 가야할 이유를 내적 동기의 측면에서 찾고나면 '출근 해야 한다'가 아니라 '출근 하기로 선택했다'라고 생각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율성 감각이 높아집니다.
② 유능감 회복
- 목표 쪼개기: 유능감은 단순히 어떤 일을 잘 할 때가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거나 성장하고 있다고 느낄 때 커집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높은 기대치(완벽주의)는 항상 자신을 부족하다고 느끼게 하므로, 목표를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해야합니다. 작은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유능감이 생기고 동기가 꾸준히 올라갑니다.
- 실패를 성장의 지표로 인정: 안전지대(comfort zone)는 우리에게 익숙하고 편한하며 꾸준한 수준의 수행이 가능한 곳입니다. 그곳을 벗어나면 불편하고 불안하며 실수를 할 수도 있지만 그곳이 곧 성장하는 지대(growth zone)입니다. 따라서 실패는 수치스러운 것이 아니라, 용기있게 도전했다는 증거이자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③ 관계성 회복: 조건 없는 사랑과 자기 가치 존중
- 타인과의 관계: 성인은 이해와 공감, 사랑과 존중이 있는 곳을 스스로 찾고, 관심사를 함께하는 커뮤니티(소속감)를 만들어야 합니다.
- 부모-자녀 관계 (뿌리): 사랑의 메시지는 조건이 없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잘못하거나 실패했을 때 사랑받는 경험을 통해 진정한 조건 없는 사랑과 관계성을 배웁니다.
- 나 자신과의 관계: 나의 가치는 성적이나 월급과 같은 성취에 달려 있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인시켜주어야 합니다. 부모에게 받지 못했던 조건 없는 사랑을 '내가 내 부모가 되어' 나 자신에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연히 알고리즘에 떠서 처음 알게 된 분인데
이분의 다른 영상을 찾아보니 요즘 현대인들에게(특히 우리나라) 꼭 필요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네요.
영상의 내용을 다 정리한 것이 아니므로 무기력으로 고민하고 계신 분들은 한번쯤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일기는 일기장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블로그를 하는 이유 (0) | 2025.11.10 |
|---|---|
| 티스토리 블로그 꾸미기(사이드바에 가로선 넣기) (0) | 2025.11.03 |
| 티스토리 블로그에 달력 달기(&아이콘&파비콘) (0) | 2025.11.03 |
| 티스토리 블로그에 도메인 연결하기 (with 카페24) (0)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