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포스팅인 '무기력을 극복하는 방법'은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에 떠서 보게 된 것입니다.

쇼츠로 웃긴 영상을 보다가 차분하게 경청해야 하는 내용을 보려니 집중이 안 돼서 '나중에 볼 동영상'에 저장을 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저의 경우 '나중에 볼 동영상'에 저장한 것을 나중에 실제로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저장했기 때문에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다는 안도감이 컨텐츠를 '잡은 물고기' 취급하게 만든 것일까요.

어쨌든 유익하고 다시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서 기껏 저장한 콘텐츠를

그다지 쓸모없는 쇼츠를 보느라 안보고 있는 것입니다.

 

-

영화나 드라마를 띄엄띄엄 봅니다.

물론 그래도 큰 지장이 없는 영화들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제이슨 스타뎀의 영화 같은 것들 말이죠.

하지만 섬세한 대사와 표정연기, 미장센 등 감상할 것들을 많이 집어넣은 영화들의 경우

그것들을 다 놓치고 줄거리만 따라가는 것은 영화를 제대로 감상했다고 보기 힘듭니다.

수십 년 동안 숙성한 위스키를 향도 맛도 음미하지 않고 목구멍에 털어넣는 격이랄까요.

 

-

책을 읽다가 그만둡니다. '재미없는 책이라도 일단 펼쳤으면 끝까지 읽어야 한다'는 주의는 절대 아닙니다.

세상에 읽을 책이 얼마나 많습니까. 재미없을 것을 붙잡고 있을 이유도, 여유도 없습니다.

하지만 좋은 책이라고 생각되는 책조차 완독을 미루고 미루다 반납일이 도래해서 어쩔 수 없이 반납하고, 

나중에 볼 동영상처럼 다시 빌리지 않습니다.

구매한 책은 말할 것도 없지요. 그야말로 언제든 볼 수 있으니,

절대 보지 않습니다.

 

 

-

누군가 2025년에 블로그를 시작한다고 하면 수익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블로그는 그런 목적은 아닙니다.

'블로그 수익화' 라는 주제로 강의가 있을 정도면

전통적인 방식처럼 생각이나 일상을 기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무언가가 있다는 뜻일 텐데

저는 그런 것엔 관심이 없습니다.

 

글을 쓰려면 글감이 있어야 하는데

저는 별다른 사건사고 없이 방구석에서 심심한 인생을 살고 있고

따라서 하루 종일 시간을 보낸 것들을 위주로 글을 써야 하는데

책이든 영화든, 하다못해 20분짜리 유튜브도 끝까지 제대로 보지 못하는 저를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기록'이라는 방법을 채택한 것입니다.

 

당장 지난 글만 해도

'이걸 다 보고 포스팅을 해야겠다'라고 생각했기에 영상을 다 볼 수 있었습니다.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암기까지 되었으니

보고 듣고 경험한 것을 기록하는 것은 여러모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유튜브에 좋은 영상이 있어 소개합니다.

지나영 교수님이 무기력의 원인과 극복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xBrl-Gwry8

 


다음은 우리가 무기력과 혼동하기 쉬운 것들입니다.

  • 무기력(Listlessness): 뭔가를 하려는 동기나 의욕이 심각하게 떨어지거나 없는 상태로, 이는 외부의 강제나 압박이 많을 때 심해짐.
  • 번아웃(Burnout): 업무나 일 관련 스트레스로 인한 완전한 소진 상태(에너지 고갈, 회의감). -> 휴식을 통해 급격히 회복될 수 있음.
  • 우울증(Depression): 무기력과 함께 우울감, 무쾌락감, 심한 부정적 사고(무가치감, 죄책감) 및 수면/식욕 장애가 동반. ->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함.

 

1. 무기력의 근본 원인 : 내적 동기의 상실

 

2. 내적 동기 회복의 3가지 요소

사람이 잘 살고 내적 동기(Internal Motivation)를 갖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심리적 요소가 충족되어야 합니다.

  1. 자율성 : 내가 내 행동과 선택을 결정하고 삶을 조율할 수 있다는 감각.
  2. 유능감 : 내가 어떤 일을 해낼 수 있고, 배우면 성장할 수 있다는 감각.
  3. 관계성 : 내가 소속되어 있고, 사랑받고, 인정받고, 가치를 존중받고 있다는 감각.

 

3.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회복 방법 

① 자율성 회복

  1. 선택이 있음을 인지하기: 모든 일에 '선택'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일단 디폴트를 '안 한다(No)'로 놓습니다.
  2. 나의 이유로 '예스'를 뒤집기: '안 한다'에서 '한다(Yes)'로 선택을 뒤집을 때, 돈이나 벌이 아닌 나의 가치, 목적, 의미(내적 동기)를 고려해서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 가기 싫을 때 '안 간다'를 디폴트로 합니다. 그리고 가야할 이유를 내적 동기의 측면에서 찾고나면 '출근 해야 한다'가 아니라 '출근 하기로 선택했다'라고 생각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율성 감각이 높아집니다.

② 유능감 회복

  • 목표 쪼개기: 유능감은 단순히 어떤 일을 잘 할 때가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거나 성장하고 있다고 느낄 때 커집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높은 기대치(완벽주의)는 항상 자신을 부족하다고 느끼게 하므로, 목표를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해야합니다. 작은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유능감이 생기고 동기가 꾸준히 올라갑니다. 
  • 실패를 성장의 지표로 인정: 안전지대(comfort zone)는 우리에게 익숙하고 편한하며 꾸준한 수준의 수행이 가능한 곳입니다. 그곳을 벗어나면 불편하고 불안하며 실수를 할 수도 있지만 그곳이 곧 성장하는 지대(growth zone)입니다. 따라서 실패는 수치스러운 것이 아니라, 용기있게 도전했다는 증거이자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③ 관계성 회복: 조건 없는 사랑과 자기 가치 존중

  • 타인과의 관계: 성인은 이해와 공감, 사랑과 존중이 있는 곳을 스스로 찾고, 관심사를 함께하는 커뮤니티(소속감)를 만들어야 합니다.
  • 부모-자녀 관계 (뿌리): 사랑의 메시지는 조건이 없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잘못하거나 실패했을 때 사랑받는 경험을 통해 진정한 조건 없는 사랑과 관계성을 배웁니다.
  • 나 자신과의 관계: 나의 가치는 성적이나 월급과 같은 성취에 달려 있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인시켜주어야 합니다. 부모에게 받지 못했던 조건 없는 사랑을 '내가 내 부모가 되어' 나 자신에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연히 알고리즘에 떠서 처음 알게 된 분인데

이분의 다른 영상을 찾아보니 요즘 현대인들에게(특히 우리나라) 꼭 필요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네요.

영상의 내용을 다 정리한 것이 아니므로 무기력으로 고민하고 계신 분들은 한번쯤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 코스피와 미국 증시가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11월 들어 변동성이 커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는데요.

여러 경제 뉴스와 유튜브 영상들을 보면서 나름대로 정리해 봤습니다.

*저는 금융이나 경제 관련 전문가가 절대 아니며, 궁금한걸 인터넷에서 찾아보는, 현대의 흔하디 흔한 범부일 뿐입니다.
운 좋으면 치킨 한 마리, 대박나면 참치 정도 사 먹는 수준으로 매우 소소하게 국장/미장 주식 몇 주 들고 있는 개미일 뿐입니다.
이 글은 여러 뉴스 기사와 금융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한 개인적인 분석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1. AI 버블 우려와 빅테크 주식 조정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AI 관련 주식들의 과대평가 우려입니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같은 대형 투자은행 CEO들이 "향후 12~24개월 내 10~20% 조정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투자자들이 긴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팔란티어는 3분기 실적이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주가수익비율(PER)이 200배를 넘는다는 이유로 8% 가까이 급락했고, 엔비디아와 AMD 같은 반도체 주식들도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워런 버핏이 선호하는 지표인 '버핏 지표'(시가총액/GDP 비율)가 21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시장 과열 신호가 점멸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2. 미국 정부 셧다운의 장기화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인데, 사실 미국 정부 셧다운이 38일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장 기간입니다.

약 90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 상태이고, 200만 명이 급여 없이 일하고 있습니다. 더 심각한 것은 4,100만 명이 의존하는 식료품 지원 프로그램(SNAP)이 11월에 지급 중단되었다는 점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로 인해 11월 소비 지출이 0.5% 포인트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가 50.3으로 급락하면서 3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정부 셧다운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3. 노동시장 악화 신호

Challenger, Gray & Christmas 데이터에 따르면 10월 일자리 감축이 20년 만에 가장 많았고, 2025년은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정리해고가 발표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로 인한 구조조정입니다. 10월 한 달에만 기술 부문에서 AI 재편으로 33,281개 일자리가 사라졌습니다. 아마존, 타겟, UPS 등 대기업들이 올해에만 총 60,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감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4. 시장 유동성의 3중 타격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되는 것은 유동성 감소입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세 가지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돈의 흐름이 막히고 있습니다:

  1. 미국 정부의 단기채 과다 발행 - 시중 자금이 국채로 흡수됨
  2. 빅테크의 회사채 발행 러시 - 메타, 구글등 빅테크 기업들이 76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채권으로 조달
  3. 기관투자자들의 현금 비축 - 고평가 우려로 수익 실현 및 향후 금리 인하에 회의적인 시각

이 세 가지가 겹치면서 단기 금융시장의 금리(SOFR)가 불안정해졌고, 단기 차입으로 운영되는 헤지펀드들이 롤오버(재차입) 비용 상승으로 당장 현금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5. 코스피는 왜?

그렇다면 왜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증시에서 대규모로 자금을 회수하는 걸까요?

미국 단기채 금리가 높아졌다고 해도 그 이자율이 현재의 코스피 수익률보다 높지는 않을텐데 말이죠.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자본은 연기금, 자본운용사, 헤지펀드, 외국증권사 및 투자은행 등이 있는데

이중 헤지펀드는 적극적인 레버리지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들은 단기 금융시장(예:repo시장)에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투자를 하고, 만기가 되면 재차입(롤오버)을 하는데

차입비용이 상승하면 롤오버시 더 높은 이자를 내야하고 마진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즉, 당장 현금을 확보해 빚을 갚거나 담보를 채워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즉 외국인 자본 유출의 이유가 수익률이 아니라 유동성 때문인데, 이런 상황에서 한국시장은 특히 타격을 입기 쉽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은

  • MSCI 선진국 지수 비포함: 패시브 펀드의 의무 보유 대상이 아님
  • 유동성이 적당히 높음: 대량 매도 시 빠른 현금화 가능
  • 진입장벽이 낮음: 자본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움
  • 방어막이 약함: 강력한 중앙은행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

결국 외국인 헤지펀드 입장에서는 미국 주식은 핵심 포트폴리오라 팔기 어렵고, 유럽이나 일본은 규제가 있지만, 한국은 "가장 팔기 쉬운 선진 시장"인 셈입니다.

실제로 10월 28일부터 외국인들의 1조 원 이상 대규모 매도가 시작되었고, 이는 미국 초단기 금리가 급등한 시점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정리하면

최근 증시 하락은 단순히 한두 가지 이유가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AI 주식 과대평가 우려로 투자자들이 수익 실현
  • 미국 정부 셧다운으로 소비 심리 위축
  • 노동시장 악화와 대규모 구조조정
  • 빅테크의 막대한 자금 조달 및 미국 단기채 발행 증가로 시장 유동성 감소

이러한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코스피뿐 아니라 미증시의 자본이 회수되고 있으며 

주요 코인들도 10월 중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버크셔의 현금보유액이 현재 547조로 역대 최대규모라고 합니다.

저는 앞으로 몇 달간은 변동성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몇 개 정도 남겨놓고 모두 정리했습니다.

들여다본다고 수익이 나는 것도 아닌데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수시로 수익을 확인하여 다른 일에 집중 못하는 것도 싫고

빨강-파랑 바뀔 때마다 일희일비하는 것도 싫네요.

제가 전업투자자도 아니고, 요즘처럼 변동성이 클 때는 그냥 관망하는게 속 편한 것 같습니다.

 

 

 


1. 리스트의 형태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2. 리스트 인덱싱 및 슬라이싱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print(colors[3]) 
=> white

print(colors[2:4]) 
=> ['green', 'white']

 

3. 리스트에 원소 추가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colors.append("yellow")
print(colo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yellow']

shapes = []
shapes.append("circle")
print(shapes)
=> ['circle']

 

4. 리스트의 원소 수정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print(colors[2])
=> green

colors[2] = "purple"
print(colors[2])
=> purple

 

5. 리스트 중간에 삽입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colors.insert(1, "orange")
print(colors)
=>['red', 'orange', 'blue', 'green', 'white', 'black']

 

6. 리스트의 원소 삭제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del colors[1]
print(colors)
=>['red', 'green', 'white', 'black']

 

7. 두 리스트의 결합

colors = ["red", "blue"]
shapes = ["circle", "square"]

colors.extend(shapes)
print(colors)
=> ['red', 'blue', 'circle', 'square']
colors = ["red", "blue"]
shapes = ["circle", "square"]

colorandShape = colors + shapes
print(colorandShape)
=> ['red', 'blue', 'circle', 'square']

 

8. 리스트의 정렬(숫자 뿐 아니라 글자도 알파벳 순서대로 오름차순 정렬)

number = [5, 3, 8, 6, 7, 2]
number1 = sorted(number)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colors1 = sorted(colors)

과일 = ["사과", "배", "감", "포도", "수박"]
과일1 = sorted(과일)


print(number1)
=> [2, 3, 5, 6, 7, 8]

print(colors1)
=> ['black', 'blue', 'green', 'red', 'white']

print(과일1)
=> ['감', '배', '사과', '수박', '포도']

 

9. 리스트의 정렬(내림차순)

number = [5, 3, 8, 6, 7, 2]
number1 = sorted(number, reverse=True)
print(number1)
=> [8, 7, 6, 5, 3, 2]

 

10. 인덱스 찾기

colors = ["red", "blue", "green", "white", "black"]
print(colors.index("green"))
=> 2

 

 

 

사이드바에 위 사진과 같이 가로로 구분선을 넣고 싶었습니다.

 

이를 위해 [ HI! / 태그 / © 2025 Ashosho ] 가 모여있는 '메뉴' 라는 위젯의 CSS를 수정해야 합니다.

 

 

 

 

 

 

메뉴 위젯은 "widget"라는, 다른 위젯과 동일한 스타일이 적용되므로

메뉴 위젯에만 적용할 새 스타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HTML에서 메뉴 위젯이 위치한 곳을 찾아서,

적용할 클래스의 이름을 widget -> widget blog-menu으로 변경합니다.

그리고 CSS에서 이 widget blog-menu의 스타일을 정의하면 됩니다.

 

HTML에서 아래 부분을 찾아서

<s_sidebar_element>
	<div class="widget"><!-- Blog Menu -->
		[##_blog_menu_##(복사해서 사용하는경우 괄호를 포함한 이 문장을 지울것)]
	</div>
</s_sidebar_element>

 

다음과 같이 변경해줍니다.

<s_sidebar_element>
	<div class="widget blog-menu"> <!-- Blog Menu -->
		[##_blog_menu_##(복사해서 사용하는경우 괄호를 포함한 이 문장을 지울것)]
	</div>
</s_sidebar_element>

 

그리고 CSS에 다음을 추가합니다.

#sidebar .widget.blog-menu {
  padding-top: 10px;
  position: relative;
}

#sidebar .widget.blog-menu::before {
  content: '';
  display: block;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30px;  /* 왼쪽 여백 */
  right: 30px; /* 오른쪽 여백 */
  border-top: 1px solid #ddd;
}

 

좌우 여백, 선의 색과 두께, 간격 등은 원하는 디자인에 맞게 수정하였습니다.

 

 

오늘은 블로그에 달력을 달아봤습니다. 

<설정-꾸미기-사이드바> 혹은 <플러그인>에 있을 줄 알았는데 없네요...

 

구글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달력" 을 검색하니

많은 분들께서 친절하게 방법을 알려주신 글이 나옵니다.

 

달력 달기 성공한 모습


1. HTML에서 코드 넣기

<스킨편집 - html편집>에서 <s_sidebar> </s_sidebar> 사이에 다음을 넣습니다.

<s_sidebar_element>
  <!-- 달력 -->
  <div class="calendar">
    [##_calendar_##(복사해서 사용하는경우 괄호를 포함한 이 문장을 지울것)] 
  </div>
</s_sidebar_element>

 

 

 

2. <꾸미기 - 사이드바 - 달력> 추가하기

 

 

3. CSS 추가

보기 좋게 하기 위해 아래를 <스킨편집 - html편집 - CSS>의 하단에 붙여넣어 원하는 색상이나 크기 등을 설정합니다.

/* calendar */
/* 달력 전체 박스의 여백 설정 (위 25px, 좌우 25px, 아래 3rem) */
.calendar {margin: 25px 25px 3rem 25px;}

/* 달력 테이블 전체 (현재 스타일 없음) */
.calendar .tt-calendar {}

/* 달력 상단의 년월 표시 부분 (폰트 크기, 아래 여백) */
.calendar .tt-calendar caption {font-size: 0.855em;margin-bottom: 0.7em;}

/* 달력 상단의 이전/다음 달 이동 화살표 (색상, 크기) */
.calendar .tt-calendar caption a:first-child, .calendar .tt-calendar caption a:last-child {color:#999; font-size:1.2em}

/* 달력 상단의 모든 링크 (화살표) 정렬 */
.calendar .tt-calendar caption a {vertical-align:middle}

/* 달력의 모든 칸(요일 헤더와 날짜 칸)의 안쪽 여백과 정렬 */
.calendar .tt-calendar th, .calendar .tt-calendar td {padding:5px 0;text-align:center;}

/* 요일 헤더(일~토)의 스타일 (폰트 크기, 굵기, 색상) */
.calendar .tt-calendar th {font-size: 0.700em;font-weight:normal;color: #555;}

/* 날짜 숫자의 기본 스타일 (폰트 크기, 색상) */
.calendar .tt-calendar td {font-size:0.75em;color: #7e8ba3;}

/* 현재 주를 표시하는 스타일 (현재 스타일 없음) */
.calendar .tt-calendar .cal_current_week {}

/* 토요일과 일요일 날짜의 색상 (빨간색) */
.calendar .tt-calendar .cal_week2, .calendar .tt-calendar .cal_day_sunday {color:red}

/* 글이 작성된 날짜의 스타일 (배경색, 글자색, 모양, 크기) */
.calendar .tt-calendar td a {display:inline-block;background: #bad3f5;color: #4c7dff;border-radius: 20%;width: 22px;height: 22px;line-height: 20px;}

/* 오늘 날짜의 글자 색상 */
.calendar .tt-calendar .cal_day4 {color: #00aecd;}

/* 오늘 날짜에 글이 있을 때의 스타일 (진한 파란 배경, 흰 글자) */
.calendar .tt-calendar .cal_day4 a {background: #2868f7;color: #fff;}

 

 

달력을 다니 글 쓴 날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좋고,

꾸준히 포스팅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친김에 아이콘과 파비콘도 만들어서 등록했습니다.


아이콘은 64x64 사이즈의 png 파일로 만들었고

파비콘은 확장자가 ico인데 픽셀메이터 프로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것 같아서

구글에서 favicon이라고 검색 후 나온 아무 사이트에서 만들었습니다.

이미 만든 아이콘 파일을 넣으니까 1초도 안 돼서 만들어줍니다.

 

 

파비콘이 잘 등록된 모습

 

 

 

정보 열람의 비용은 이미 0에 수렴했고

이제 AI라는 막강한 툴까지 개인의 손에 쥐어지면서

앞으로 무능과 무식은 순전히 게으름의 결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학자나 엔지니어들은 기술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준다는 믿음을 갖고 있을까요.

전 요즘 신기술을 접할 때마다 빨리 익혀서 활용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 같은 FOMO만 느껴지는데요.

 

 

 

 

 

+ Recent posts